이 山,.,.저 山

연화봉

빠꼼임 2014. 10. 12. 14:02

              연 화 봉 ( 경남 통영시 연화면 욕지리)

연화도 전설

조선 중기 사명대사는 조정의 억불정책으로 지리산 쌍계사에서 조실 스님을 뵙고 남해도로 피하여 보리암에서 지도

하던 중이었다.. 그때 사명당을 찾아 전국을 헤메던 세여승(보운: 임채운- 사명대사 여동새. 보월 : 김보구 - 사명당

처. 보련: 황현옥 - 애인)과 상봉하게  되었다. 이들은 이것을 불연의 인연이라 생각하여 연화도로 다시 옮기게 되고

현 깃대봉(연화봉) 토굴 터에서 수도정진, 득도하여 만사형통하였다 하며, 이 세 비구니를 자운선사라 한다.

 

이들은 후에 임진란이 발발할 것을 예측하고 이순신 장군을 만나 거북선 건조법, 해상지리법, 천풍기상법 등을 우리

수군에게 대책을 알려 주었다고 한다.

그때에 사명당과 세 여승이 연화도 숲속 길을 거닐며 읊조린 시를 소개한다.

보운(寶雲)의 시

 

창해의 한 날 조알(一栗)

아득한 이 내 몸이

삼세여인을

믿을 수 있으랴만

두어자 짧은 비석이

그 옛일을 말하나니

보운, 보련이

어찌 남이리오

 

보련(寶蓮)의 시

연화도인 잠드신 곳에

세 낭자 무슨일로

옷깃을 적시나니

그대를 만난 자리에

전생 일 말하자니

가련할 손 끼치 원한

바다보다 깊을세라

 

보월(寶月)의 시

이 생의 만남과 이별

몰래 혼을 녹이거니

딴 세상 인연일랑

또 다시 의논 마소

창해물 다 기울리여

이 내 가슴 씻치고저

 

사명당(四溟堂)의 시

광막한 넓은 천지에

조 알 같은 이네 몸이

나고 죽고 죽고 나고

그 몇 걱ㅂ이 디었드니

한의 바다 정의 하늘을

다실랑 말을 마소

대천세계도

눈 속에 꽃이로세

'이 山,.,.저 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덕산  (0) 2014.10.16
한라산  (0) 2014.10.16
인왕산  (0) 2014.10.07
운문산  (0) 2014.09.22
축령산  (0) 2014.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