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김형석의 100세 일기(佛 몽클라트 장군은 6.25참전 위해 중령 계급장 달았다

빠꼼임 2020. 5. 2. 09:28

佛 몽클라르 장군은 6·25 참전 위해 중령 계급장 달았다           

  •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입력 2020.02.29 03:00

[아무튼, 주말- 김형석의 100세 일기]

일러스트= 김영석
일러스트= 김영석
지난달 강연을 갔다가 코리아 헤럴드 대표를 지냈던 기외호씨를 만났다. 대화를 나누다 6·25전쟁 때 몽클라르(R Monclar) 장군 얘기를 들었다. 그 내용이 더 궁금했다. 며칠 전 경기도 양평 지평리로 직접 찾아가 기념관과 기념비를 볼 수 있었다.

공산군의 남침으로 6·25전쟁이 발발했을 때, 프랑스는 유엔(UN)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었으나 2차 대전 이후 국내 사정으로 전투 병력을 보낼 여유가 없었다. 그 실정을 알게 된 몽클라르는 전국을 누비고 다니면서 자신과 같이 한국전쟁에 참전할 지원병을 모집했다. 전투 경험이 풍부하고 그를 존경하던 600명이 동참했다. 대대 병력이 마련된 것이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장군(중장)이 대대를 지휘한다는 것은 관례상 허용되지 않았다. 몽클라르 장군은 중령 계급장을 기꺼이 자청했다. 그리고 만삭인 아내를 설득했다. 무릎을 꿇고 "군인으로서 마지막 사명과 명예를 위해 허락해 달라"고 용서를 구했다. 아내는 아버지 없는 아이가 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남편을 한반도 전쟁터로 떠나보냈다. 장군은 그때 58세였다.

그렇게 출정한 프랑스 대대는 미 보병사단 23연대에 합류해 양평 지평리를 방어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다. 그 요충지를 돌파하려는 중공군 3개 사단 병력은 지평리 산악지대를 포위하고 총공격을 개시했다. 그것이 전쟁 역사에 기록된 지평리 전투였다. 1951년 2월 13일부터 15일에 걸친 치열한 혈전이었다. 지평리 전선을 사수하라는 명령을 받은 미군과 프랑스군은 그 전투에서 기적처럼 승리했다. 전사 52명, 실종 42명의 희생자가 생겼으나 중공군은 전사자 약 5000명을 남기고 퇴각했다. 미 공군의 폭격 등 외부 지원이 있었으나 한 연대가 3개 사단의 협공을 방어한 전투는 상상하기 어려운 전과였다. 중공군에 밀리던 유엔군은 자신감을 회복했다.

휴전과 더불어 귀국한 몽클라르 장군은 10년 후에 앵발리드 기념시설의 관리사령관으로 여생을 마쳤다. 그 기념관은 나폴레옹의 묘소이기도 해 국가적 영광을 상징하는 명소이다. 몽클라르는 1964년 6월 3일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앵발리드 안에 있는 성당 지하에 안장되었다. 당시 샤를 드골 프랑스 대통령이 직접 장례식을 집행했다. 대통령은 눈물을 흘리면서 고인의 숭고한 군인정신과 자유를 위한 생애를 국가적 예우를 갖추어 추모했다
.

나는 1962년 여름 안병욱·한우근 교수와 함께 앵발리드 기념관을 방문 했다. 하지만 그런 역사적 사실을 상세히 몰랐기 때문에 몽클라르 장군을 예방하지는 못했다. 몽클라르 장군을 회상하면서 우리 젊은 세대에게 바란다. 넓은 세계를 바라보지 못하고 집안 싸움에 세월을 낭비하는 기성세대의 구습에서 탈피하기를. UN 정신과 더불어 세계무대로 진출해 주기를. 애국심은 국민의 인간다운 삶과 행복을 위하는 희생정신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