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영의 News English] 韓流가 한·일 관계에 미치는 영향
“양국은 1965년 외교 관계를 정상화했지만(normalize diplomatic ties), 1998년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가 미래 지향적 관계를 합의하기 전까지는 문화 상품 수·출입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공동선언에 따라(in line with their joint statement) 한국이 문호 개방 정책을 취해(implement the open door policy) 일본 문화 상품 수입 규제를 해제하면서(lift its restrictions) 물꼬가 트이게 됐다.
일본 내 한류는 세 차례 물결이 일었다. 1차는 2003년 ‘겨울소나타’로 대표되는 드라마 중심이었고, 2차(2010~2015년)는 보아·소녀시대·슈퍼주니어·카라 등 가수들이 이끌었으며, 3차는 2015년 이후 BTS·트와이스·세븐틴 등 K팝 그룹이 몰아치고 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남녀 성에 따른 요소(gendered element)가 중요한 요인(significant factor)으로 작용했다.
1차 한류 팬은 40~60대 여성이 주류를 이뤘다. 두 명의 총리 부인이 공개 석상에서(on public occasions) 한국과 안정적 유대의 중요성을 옹호하고 나섰을 정도다. 그러자 극우 남성들이 반발해 혐한 운동을 노골화했다. 이에 중년 여성들은 한류와 한류 팬덤을 전통적 남성 우월주의에 저항하며(resist the male chauvinism) 양성 평등을 주장하고(insist on gender equality) 사회·경제적 지위를 높이는(raise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대체 수단과 세력으로 삼았다. 이들 ‘한류 맘’들은 자녀들이 극우 남성들의 반한·혐한에 휩쓸리지 않게 하는 역할에 최선을 다했다(try their best).
2차·3차 한류에서는 1차 때와 달리 젊은 남성 팬들도 늘어났다. 그리고 또 다른 특징은 남녀 젊은 팬층이 모두 자신들의 엄마인 이전의 중년 여성들(previous middle-aged women)과는 색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젊은이들은 한류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대신 극우 정치 집단과 거리를 두는(distance themselves from the extreme right wing political group) 방편으로 아예 한국을 향한 친밀감을 노골적으로 표현한다(blatantly express their affinity toward Korea).
그런가 하면 40세 이하 여론조사 결과, 64.6%는 한일 관계가 악화될 때도 한류를 즐기고, 4분의 3이 넘는 77.5%는 한국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일본 젊은이 사이에 정치·문화 분리가 일관적 태도(consistent attitude)가 됐다는 것이다. 이들은 우익 보수에 의해 독점된 주류 언론 매체가 아니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한류를 즐긴다.
일본 외교 정책 입안(formulation of foreign policy)은 여전히 우익 정치인들이 좌우한다. 하지만, 다가오는 장래를 책임질 일본의 젊은 세대에겐 한류가 한국의 국제적 이미지를 마취시켜 나가고 있다.”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간첩단, 9·11 때 빈라덴 수법으로 교신 (0) | 2023.01.10 |
---|---|
경제학계 올림픽 (0) | 2023.01.10 |
커피 공화국 (0) | 2023.01.10 |
위스키 런 (1) | 2023.01.09 |
백영옥의 말과 글 (행복의 조건)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