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난지도 80만평, ‘서울링’ 말고 첨단 녹지 도시 세워야

빠꼼임 2023. 2. 22. 07:58

난지도 80만평, ‘서울링’ 말고 첨단 녹지 도시 세워야[한삼희의 환경칼럼]

서울링 입지로 하늘공원 검토한다는데
그곳 쓰레기산 걷어낸 후 ‘텅빈 백지’ 땅에
마리나베이도 시기할 세계적 新도시 조성하길

입력 2023.02.22 00:00
 
서울시가 난지도 매립지의 하늘공원, 또는 한강대교의 노들섬에 입지를 검토 중인 서울링의 개념도. 반지 모양 원형 시설물의 관람차에 타고 서서히 회전하면서 한강 일대 경관을 감상하게 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작년 8월 싱가포르 방문 후 ‘그레이트 선셋’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한강 르네상스의 ‘시즌 투’ 프로젝트를 연달아 내놓고 있다. 싱가포르의 관광 복합단지 마리나베이를 벤치마킹한 것이 많다. 물 위에 뜬 무대와 강변 객석, 레이저쇼가 벌어지는 수퍼트리와 비슷한 낙조(落照) 전망대, 발 아래 수면을 보면서 한강 위를 걷는 스카이워크, 물이 강으로 곧바로 떨어지는 것 같은 강변 인피니티풀 등이 그렇다. 마리나베이의 대관람차 ‘싱가포르 플라이어’를 본뜬 서울링도 그중 하나다. 165m 고도까지 올라가는 회전 관람차에 타고 한강의 석양을 감상한다는 것이다.

한강은 서울의 관광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관 자원이지만 실제 활용도는 안타까울 만큼 미흡하다. 뭣보다 강변도로로 시민 접근이 차단돼 ‘닫힌 강’이라는 한계가 있다. 수달도 사는 맑고 커다란 강인데도 요트, 유람선, 수상스포츠를 거의 볼 수 없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마리나베이에서 바라보는 싱가포르 마천루 빌딩군(群)의 예술적 스카이라인도 한강엔 없다. 상하이 황푸강 산책로에서 보는 푸둥의 네온사인 경관 같은 것도 없다. 아파트만 즐비하다.

서울시는 그레이트 선셋의 랜드마크가 될 서울링의 입지를 난지도 하늘공원과 한강대교의 노들섬 중 한 곳으로 정하겠다고 지난 연말부터 밝혀왔다. ‘하늘공원 유력’ 분위기가 있다고도 한다. 하늘공원은 1978~1993년 15년간 쓰레기를 쌓아 만든 두 개 거대 매립 동산 중 하나다. 서쪽 노을공원에는 파크골프장이, 동쪽 하늘공원엔 생태공원이 조성돼 있다.

하늘공원은 평지보다 90m 높은 고지여서 서울링의 시야가 훨씬 트인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하늘공원에 오르려면 291개 계단을 밟아야 한다. 결국 도로와 에스컬레이터 등 인프라가 필요할 것이다. 터미널도 지어야 한다. 식당 같은 부속 시설도 필요하고 상하수 설비도 들어가야 한다. 서울링을 그곳에 세우면 하늘공원은 영구적 놀이공원으로 자리 잡게 된다.

하늘공원을 그런 용도로 쓰기엔 아깝다. 더 큰 포부를 품어야 한다. 매립 쓰레기를 걷어내고 거기에 첨단 도시를 짓자는 것이다. 이미 그런 아이디어가 있었다. 1994년 건설회사들이 작성한 ‘난지도 구상’이란 28쪽짜리 요약 보고서에 9200만㎥ 쓰레기를 걷어내자는 제안이 담겨 있다. 난지도 쓰레기의 3분의 2는 폐건설자재·연탄재·복토재로 이뤄져 있다. 나머지는 대부분 일반폐기물이고 산업폐기물·하수슬러지가 3% 들어 있다. 이것들 가운데 분해가 덜 된 가연성 쓰레기는 선별 소각하고, 나머지는 서해 간척지로 옮겨 매립토로 쓰자는 것이다. 경인아라뱃길을 거치는 바지선 운반이나 영종도까지 40㎞ 컨베이어벨트 이송 방안을 제시했다. 비용은 당시 화폐가치로 2조원대, 기간은 7년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난지도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는 106개 추출공으로 모아 인근 아파트의 온수 공급 연료로 쓰고 있다. 메탄가스 발생량이 2002년 2845만㎥였는데 차츰 줄어 작년엔 545만㎥가 됐다. 분해가 상당히 진전된 것이다. 안정화(일반 토양화)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멀지 않은 장래에 매립 쓰레기를 걷어내도 될 만큼 분해가 이뤄질 것이다. 인천 수도권매립지에 가보면, 작업 구역만 순차적으로 쓰레기를 노출시키기 때문에 작업 과정의 악취는 거의 사라졌다. 요즘 아파트 복판 소각장에서도 악취가 거의 문제 안 된다. 쓰레기를 걷어낸 후 생기는 부지의 절반 이상을 공원 녹지로 바꾼다면 인근 부동산 가격도 오를 것이다. 지역 주민들도 동의하지 않을까.

구상이 실현되면 주변 평화의공원, 난지천공원까지 합쳐 270만㎡(약 82만평)의 부지가 생긴다. 여의도 93% 면적의, 텅 빈 백지나 다름없는 땅이다. 싱가포르 마리나베이도 난지도 1.3배의 해안 간척 매립지에 조성한 것이다. 1992년 간척 완료 후 30년 사이 세계적 관광 단지로 우뚝 섰다. 마리나베이의 경관은 마리나베이샌즈 호텔이 중심 역할을 한다. 쌍용건설이 지었는데, 2500개 객실의 세 개 호텔타워 옥상을 연결시켜 거대한 배가 빌딩 위에 떠 있는 모양의 스카이파크를 조성했다. 거기 올라보면 인피니티 수영장에다 고층빌딩 스카이라인과 싱가포르 항만을 가득 메운 선박들까지 경관이 정말 압도적이다. 백지의 땅이었기에 이런 미학적 설계가 가능했다.

‘하늘공원 위 서울링’ 아이디어엔 쓰레기 매립지였다는 스토리텔링적 요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왠지 재건축 아파트단지에 낡은 종전 아파트 한 동을 남겨놓고 과거를 두고두고 되새기자는, 전임 서울시장의 고상하지만 거부감을 일으키는 발상을 떠올리게 한다. 누가 굳이 한국의 후진국 시절 가난의 흔적을 구경하기 위해 난지도를 찾겠는가.